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생활

고양이 혈액형 고양이는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따라 A형, B형, AB형 세 종류의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처럼 A형의 비율이 높은데 약 90% 정도의 고양이가 A형, 약 10%의 고양이가 B형이고, AB형 고양이는 1% 내외로 매우 희귀합니다. 고양이들의 혈액형은 묘종과 사는 지역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샴, 러시안블루, 버미즈, 통키니즈, 오리엔탈 숏헤어 종류 같은 경우는 모두 A형 입니다. 고양이 역시 수혈을 받아야 할 경우 꼭 같은 혈액형끼리 수혈을 받아야 하고, 같은 혈액형이라도 적합성 검사를 통과해야만 가능합니다. 그러다 보니 A형이 아닌 고양이의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난처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양이전문병원들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해 놓기도 합니다. 헌혈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는 고양이는.. 더보기
서울에 있는 오래된 식당 Ⅱ (1950년 이후) 1. 1950년 개업 명동할매낙지 -중구 명동8길 35-1-02-757-3353-주요메뉴 : 낙지백반(9,000원) 2. 1950년 개업 진주집 -중구 남대문시장4길 6-1-02-753-9813-주요메뉴 : 꼬리곰탕(19,000원), 도가니탕(15,000원) 3. 1952년 개업 문화옥(1957년 현재 위치로 이전) -중구 창경궁로 62-5-02-2265-0322-주요메뉴 : 양지설렁탕(9,000원) 4. 1953년 개업 연남서식당(서서갈비-2004년 현재 위치로 이전) -마포구 백범로2길 32-02-716-2520-주요메뉴 : 갈비(15,000원) 5. 1956년 개업 마포진짜원조최대포(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 -마포구 마포대로 112-4-02-719-9292-주요메뉴 : 돼지갈비(12,000원).. 더보기
서울에 있는 오래된 식당 Ⅰ (1950년 이전) 1. 1904년 개업 이문설농탕(2011년 현재 건물로 이전) -종로구 견지동 88-02-733-6526-주요메뉴 : 설농탕(8,000원) 2. 1926년 개업 형제추어탕(2006년 현재 건물로 이전) -종로구 평창문화로 28-7-02-919-4455-주요메뉴 : 추어탕(11,000원), 추탕(12,000원) 3. 1932년 개업 용금옥 -중구 다동길 24-2-02-777-1689-주요메뉴 : 추탕(10,000원) 4. 1932년 개업 은호식당 -중구 남대문시장4길 28-4-02-753-3263-주요메뉴 : 꼬리곰탕(19,000원) 5. 1933년 개업 곰보추탕 -동대문구 안암로6길 37-02-928-5435-주요메뉴 : 추탕(13,000원) 6. 1933년 개업 잼배옥(1974년에 현재 건물로 이전) .. 더보기
개의 지능 순위 보통 개의 지능은 3~4세 정도의 사람 지능과 유사하다고 보는데, 새로운 명령어에 복종하는 시간과 새로운 명령어에 복종하는 확률에 따라 평가를 합니다. 이에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심리학 교수로 '개의 지능', '개와 대화하는 법' 저자이기도 한 스탠리 코렌(Stanley Coren) 박사가 애견 훈련 교관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가 있습니다. 박사의 연구팀은 견종마다 지능의 차이가 있으며, 보통 개들은 165가지 정도의 말·손짓명령·휘파람 소리 등을 알아듣는데 아주 똑똑한 개의 경우 250여가지 까지도 알아듣는다고 합니다. 천재형 - 새로운 명령어에 5회 이하로 복종하며 첫 번째 명령에 복종할 확률 95% 이상 1위 보더콜리(Border Collie)2위 푸들(Poodle)3위 저.. 더보기
고양이에게 해로운 음식 반려묘 시장이 급격하게 커가면서 고양이에 대한 관심도 아울러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여러 방송프로그램이나 매체에서 고양이의 매력을 보여주는 빈도도 높아진 것 같기도 합니다. 고양이 뿐만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 사료와 간식에 관한 문제입니다. 과거 반려동물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던 시절 '먹이'에 관해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분위기가 있었지만, 분명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고 주의해야 할 기본자세죠. 특히 고양이는 신체적 특성과 예민함 때문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몇 가지 피해야 할 음식들이 있습니다. 1. 초콜릿 & 차(TEA) 초콜릿에 함유되어 있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과 카페인(Caffeine)은 심장과 신경계를 자극하는 대표적인.. 더보기
배가 고플수록 과소비를 한다? 첫 번째 실험-식당에 있는 사람들에게 배고픈 정도를 묻고, 10가지의 다양한 물건을 얼마나 갖고 싶은지 묻습니다. 두 번째 실험-식사를 하지 않은 사람들 중에 반은 케이크를 먹고 나머지는 지켜보며 기다립니다. 이 상태에서 서류를 꽂는 바인더 클립을 보여주고 가지고 싶은 정도를 0~10으로 평가하게 했습니다. 첫번째 실험의 결과 배가 고플수록 물건을 사고 싶어 했는데, 제시했던 치킨·파스타와 같은 음식 뿐만이 아니라 백팩·무선마우스와 같이 취식 할 수 없는 물건까지 사고 싶어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두번째 실험의 결과 역시 케이크를 먹지 못한 사람은 평균 7.72점의 높은 점수를 준 반면, 케이크를 먹은 사람들은 평균 2.91점을 주는데 그쳤습니다. 위의 실험은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징 쉬 교수가 진행한 것.. 더보기
올바른 피임제 사용 피임제, 얼마나 알고 있나요? 피임의 역사는 무려 4000년이라고 한다. 인류는 성관계와 임신의 관련성을 깨달은 이후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피임을 시도했는데, 성교 후 재채기를 하거나 악어 똥으로 만든 일종의 살정제를 사용하는 등 지금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엉터리 민간요법까지 썼다고 하니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의학 기술 발달로 인해 현재는 다양한 피임제와 기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경구 피임제는 피임성공률이 높고 사용이 비교적 간편해 많은 여성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사전 피임제는 피임 목적 외에도 월경 기간을 조절하거나 생리 불순 등 여성질환 치료를 보조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구입과 사용이 비교적 간편한 만큼 부작용과 오남용을 방지하는 일도 중요하다. 임신과 출산은 비단 .. 더보기
밤마다 뒤척 뒤척, 낮엔 퀭한 눈 '불면증' 불면증은 어떤 질환? 머리만 베개에 대면 잠이 든다는 사람이 있는 반면, 쉽게 잠이 들지 못해 고통스러운 밤을 보내는 이도 있다. 매일 저녁 술을 마시고 지친 다음에야 잠이 들기 때문에 오랫동안 술을 마시다가 술에 중독되는 이도 있다. 잠이 들기 힘들거나, 자다가 깨서 잠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거나, 너무 일찍 깨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런 상태가 3주 이상 지속될 경우 임상적으로 불면증 진단을 내리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불면증으로 분류한다. 잠을 부르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몸에서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수면장애에 시달리게 된다. 이런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심해지기도 한다. 55세 이후가 되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량 줄어들기 때문이다. 나이든 어르신들이 새벽에 잠이 깨어.. 더보기
미세플라스틱 사용 금지 2017년 7월부터 화장품에 미세플라스틱 사용 금지 화장대와 세면대에는 내 피부를 위한 나만의 화장품들이 마련되어 있을 것이다. 이런 화장품에 어떤 효능이 있는지는 대다수가 잘 알고 있지만,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알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스크럽제나 세안제에 사용되는 성분에는 인체에 무해하더라도 다른 문제를 일으키는 성분도 존재한다. 그중 최근 매스컴에서 뜨거운 논란이 된 성분이 미세플라스틱이다. 식약처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안을 마련하여 5mm 이하 크기의 고체플라스틱, 즉 미세플라스틱을 화장품에서는 사용 금지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번 개정안을 통해 식약처는 '미세플라스틱'의 정의를 규정에 못 박았다. 이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이란 5mm 크기 이하의 고체플라스틱으로 각질제거나 .. 더보기
콜드 브루(Cold Brew) 우리나라 사람들이 1년에 마시는 커피가 1인당 428잔이라는 통계청 자료가 있습니다. 그만큼 많이 마시며 매니아층도 두터워진 요즘이죠. 이렇게 커피시장이 성장하면서 유행을 타는 모습도 보이는데, 요즘엔 콜드 브루(Cold Brew) 커피가 인기가 좋습니다. 차갑다는 뜻의 'Cold'와 우려낸다는 뜻의 'Brew'가 만난 합성어로, 원두가루 위로 냉수를 떨어뜨려 장시간 추출한 커피를 말하죠.-워터 드립(Water Drip)이라고도 합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우리나라에서는 네덜란드식 커피라는 의미인 더치 커피(Dutch Coffee)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사실 일본 사람들이 만들어낸 표현입니다. 과거 17세기 네덜란드 상인들이 인도네시아를 오가며 커피를 운반할 때 긴 항해 동안 커피를 마시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