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

올바른 안약 사용법 봄철 걸리기 쉬운 안과질환은? 봄철에는 먼지, 바람, 건조한 공기 등으로 눈의 건조감, 불쾌감이 쉽게 나타나기 쉬운 계절이다. 이때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안과질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꽃가루 또는 화학 자극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눈 결막에 생기는 염증을 가리킨다. 가려움과 충혈, 눈부심, 이물감, 눈물의 과다분비 등의 증상이 있다.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점안제는 ▲항히스타민 성분 함유제 ▲인공눈물 등이 있다. 점안제 바로 알기!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결막염 등의 초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크로몰린나트륨’, ‘레보카바스틴염산염’, ‘케토티펜푸마르산염’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은 가끔 졸리거나 진정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 더보기
식품첨가물에 대한 오해 식품첨가물이란 정확하게 무엇인가? 식품첨가물은 식품 제조 시 보존, 착색, 감미 부여 등 다양한 기술적, 영양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을 제조·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 또는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식품첨가물은 우리나라에서 지난 1962년 식품위생법이 제정·공포되면서 식품첨가물 217품목이 최초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을 지속적으로 제·개정해, 현재 화학적합성품 405품목과 천연첨가물 197품목 등 총 602품목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을 각각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만약 식품 제조에 있어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 더보기
영국의 임금체계 영국은 산업혁명 이후부터 산출급인 개수급이 지배적 임금체계였으며, 1980년대까지도 제조업을중심을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1940년 25%, 1947년 28%, 1951년 32%로 증가하여 1961년에는 영국내 제조업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 중 73%가 개수급을 적용받았다. 1950~60년대에는 미국에서 체계적인 임금•직무 분석기법이 들어왔고, 1980~1990년대 보수당 정부 시기에는 브로드밴드 직무급, 성과급, 역량급 등 미국의 임금제도들이 영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영국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동일노동-동일임금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들로 인하여 직무급 임금체계가 확대되었다. 1970년 이전에 일반적이었던 단체협약에서의 남·여 근로자에 대한 분리된 조항은 1970년 Equal Pay Act를 계기로 .. 더보기
일본의 임금체계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임금체계의 변화는 연령 또는 연공에 따른 임금체계의 연공성 제거 또는 완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연공급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없으나,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당시 전력회사의 노동조합이었던 전기산업노조가 요구하여 도입된 전산형(電産型) 임금체계를 본격적인 연공급으로 보고 있다. 전산형 임금은 연령에 의해 결정되는 본인급이 44.3%, 근속연수로 결정되는 근속급이 4.4%, 가족 수에 의해 결정되는 가족급이 18.9%를 차지하여, 임금의 67%가 연령 및 가족상황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체계였다. 전산형 임금체계에 대한 개선 노력은 경제가 안정되기 시작한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일본경영자 단체연맹을 중심으로 직무급 도입 주장이 시작되었으며, 1962년 철강대기업.. 더보기
독일의 임금체계 독일은 전통적으로 산업별 단체협약에 의해 임금이 결정되고, 전형적인 임금체계는 직무급이다. 최근에는 작업성과와 능률을 평가하여 보상해 주기 위해 성과를 임금체계에 반영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24년 과학적 관리의 보급을 목표로 하는 REFA(작업시간측정전국위원회)가 창립되었고, 1940년대 초반에 이미 금속산업에서는 직무를 기초로 한 임금 등급, 직무의 개별 구성요소를 단위로 한 직무등급 평가, 분석적 직무평가 방법 등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942년 3월 DAF(독일노동전선)와 철강 및 금속산업 대표자들은 교섭을 통해 “철강 및 금속산업을위한 임금그룹 카탈로그(LKEM)를 제시했고, 사용자들은 노조가 배제된 상태에서 과학적인 직무평가절차를 통해 임금을 결정했다. 이 시기 여성 및 외국인근로자 비중.. 더보기
미국의 임금체계 미국의 전형적인 임금체계는 직무급으로 동일노동-동일임금의 원칙을 중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직무급에 숙련급·역량급 등 속인적 요소 및 성과급 등 변동적 급부를 가미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이 직무급을 기반으로 임금체계가 발전하게 된 배경에는 크게 3가지 정도의 요인을 꼽을 수 있다. 첫째, 경제·사회적 환경을 들 수 있다. 미국에서 직무급의 기원은 19세기 후반 과학적 경영론을 주장했던 테일러(Frederick Taylor)로 거론된다. 테일러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을 구성요소들로 세분화해 분석하며 세분화된 직무실행 과정을 단계별로 효율화시키려고 했는데, 이러한 과정이 직무분석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별 능력이나 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근로자에게 일관된 성.. 더보기
우리나라의 임금체계 우리나라의 임금체계의 변천과정은 경제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초반 이후에서 1987년 민주화 운동까지(1기), 1987년부터 1998년 외환위기까지(2기), 외환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3기) 등 크게 3개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에는 1960년대 초반 이후 연공급적 성격의 임금체계가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임금체계는 현재에 비해서는 비교적 연공성이 약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연공급적 성격의 임금체계는 생산직 근로자보다는 주로 사무관리직 근로자에서 나타나고 있다. 1985년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이 산하 노조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106개 기업 중 정기승급제가 없는 곳이 39.6%, 호봉승급제가 있지만 승급시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차별승급이 이뤄지는 곳이 29.2%,.. 더보기
임금체계의 유형 여기서의 임금체계는 임금결정체계를 말한다. 즉, 무엇을 기준으로 임금이 결정되고 조정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물론 현실에서 임금체계가 단 하나의 기준에 의해 임금을 결정하고 조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구분은 어떤 기준이 가장 주된 것이냐에 따른 유형 구분임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여기서의 유형 구분은 임금의 가장 주된 부분(보통기본급이나 기본급에 연동된 상여금 등)이 어떤 기준에 의해 그리고 어떤 방식에 따라 결정되고 조정되느냐 하는 것이다. 1) 연공급 호봉급이라고도 하며 임금의 주된 부분이 근속년수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체계를 말한다. 흔히 근속년수에 따라 더 높은 임금을 규정하고 있는 소위 호봉표를 두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연공급은 우리나라의 지배.. 더보기
직장내 성희롱 예방교육 지정기관 명단(2016.4.30 기준) 기관명 전화번호 소재지 지정일자 관할관서 (사)충북여성민우회 043-252-8124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1756번지 LH타워 1동 303호 2003-03-28 청 주 인천경영자총협회 032-428-7111 인천 남동구 고잔동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5층 2004-06-15 중 부 청 하이에이치알 노무법인 02-555-2642 서울 강남구 역삼동 631-18 2005-04-15 서울강남 노무법인 파인컨설팅 02-786-9941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57 보성빌딩 304호 2011-01-27 서 울 청 열린 노무법인 02-521-5454 서울 서초구 서초동 1553-5번지 오퓨런스빌딩 913호 2009-09-16 서울강남 노무법인나우 02-858-5479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1가 106-3번지 .. 더보기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2015년 12월 기준)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 (2015.12월기준) 시도 시군구 산후조리원명 홈페이지 주소 이용요금 (2주기준, 만원단위) 임산부실 정원(명) 일반실 특실 서울 종로구 첫단추 산후조리원 창경궁점 www.samsinbaby.co.kr 390 520 16 서울 중구 제일병원산후조리원 www.cheilmc.co.kr 343 23 서울 중구 더드림산후조리원 www.thedreamcare.com 330 380 12 서울 성동구 맘스터치 www.momtouch.co.kr 240 17 서울 성동구 서울숲 도담도담 240 17 서울 성동구 호아맘 260 295 20 서울 광진구 광진아기맘미소 http://www.agimiso.co.kr 320 12 서울 광진구 아기맘미소 330 6 서울 광진구 (주)르베르쏘 250 16 서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