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정보/경제 경영 썸네일형 리스트형 버거킹 이야기 버거킹은 맥도날드(Mcdonalds) 다음으로 세계 2위 햄버거업체이자 세계 3위 퀵서비스레스토랑(Quick Service Restaurant, QSR)이다. QSR은 종합외식업체를 말한다. 2014년 현재 전 세계 80여 개 나라에 11,0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 매장의 66%는 미국에 있다. 대표 제품은 와퍼로 패티는 직접 불에 굽는 직화방식(Flame-Broiling) 조리하며 하루 400만 개 이상을 판매하고 있다.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이며, 본사는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에 있다. 버거킹의 전신인 인스타-버거킹(Insta-Burger King)은 1953년 미국 플로리다 주 잭슨빌(Jacksonville, Florida)에 세워졌다. 창업자이자 소유주였던 케이스 J. 크래머(Kei.. 더보기 히든 챔피언(Hidden champion) 히든 챔피언(Hidden champion)은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특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강소기업(强小企業)을 지칭하는 말이다. 히든 챔피언이라는 용어는 ‘유럽의 피터 드러커’로 알려진 독일 경영학 석학 헤르만 지몬(Hermann Simon, 1947~)이 자신의 저서 [히든 챔피언(Hidden Champions of the 21st Century)]에서 처음 사용했다. -히든 챔피언은 출간과 동시에 독서계를 강타하며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미국에 소개되었을 때 '경영학의 본고장인 미국에 수출된, 유럽의 보기 드물게 뛰어난 경영서적'이라는 호평을 얻었다. 그의 정의에 따르면 히든 챔피언이 되기 위해서는 3가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시장점유율이 세계 시장에서 1위~3위 또는 .. 더보기 치킨 게임(chicken game) 치킨 게임(chicken game)은 게임 이론의 모델 중 하나로., 대립하는 두 집단이 있을 때 한쪽이 포기하면 상대방에 비해 손해를 보게 되지만, 양쪽 모두 포기 하지 않는 경우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게임이다. 치킨은 서양에서 겁이 많은 동물로 여겨져 겁쟁이에 주로 비유되는데, 치킨 게임 역시 ‘겁쟁이 게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치킨 게임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인용되는 예시는, ‘두 사람이 각각 자동차를 타고 마주보며 서로에게 돌진한다. 이때 두 사람 중 한 사람이라도 핸들을 돌려 피하지 않으면 양쪽 모두 죽게 되지만 누군가 피한다면 먼저 피한 사람이 겁쟁이(chiken)가 되어 게임에서 진다’라는 설정이다. 실제 1950년대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자신의 용기를 과시하는 방법’으로 유행했으며.. 더보기 1장 보고서 이야기 ‘말 잘하는 방법’, ‘토론 잘하는 법’, ‘발표의 기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은 어제 오늘 일은 아닙니다. 부족한 부분을 각종 테크닉과 사례를 통해 극복하고자 노력하지만, 사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본질(핵심)을 전달하는 것이고 다른 것들은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구나 지금은 환경의 변화 속도가 그 어느 때 보다 빠르고 판단 역시 그 속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사여구나 주변적인 사실보다 핵심적인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고 적시적으로 전달하는지가 경쟁력이 되는 상황입니다. 얼마 전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사내 PPT를 전면 금지시켰습니다. 그 동안 수 차례 시도를 했었고 그때마다 조직구성원들의 습관으로 실패를 거듭했지만, 이번만큼.. 더보기 프로스포츠 유니폼광고 [어떤 선수라도 구단보다 먼저일 수 없다.]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즈의 구단 철학입니다. 핀스트라이프(세로 줄무늬) 유니폼으로 상징성이 높은 뉴욕 양키즈는, 유니폼에 선수이름이 없다는 사실로 또 다른 특징을 갖는데 이런 구단 철학이 깔려있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초창기 팀명 밖에 적혀 있지 않던 유니폼에 등번호를 처음 넣은 팀이 뉴욕 양키즈(1929년)라는 사실인데 이는 타순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후 다른 구단들 역시 이후 등번호를 새기기 시작했고, 1960년대가 되자 선수이름을 함께 넣는 구단들이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양키스는 반응하지 않았고 여전히 30개 메이저리그 구단 중에 유일하게 선수이름을 새기지 않은 구단으로 남아있습니다. 일종의 자존심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MLB 공식 규.. 더보기 영국의 임금체계 영국은 산업혁명 이후부터 산출급인 개수급이 지배적 임금체계였으며, 1980년대까지도 제조업을중심을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1940년 25%, 1947년 28%, 1951년 32%로 증가하여 1961년에는 영국내 제조업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 중 73%가 개수급을 적용받았다. 1950~60년대에는 미국에서 체계적인 임금•직무 분석기법이 들어왔고, 1980~1990년대 보수당 정부 시기에는 브로드밴드 직무급, 성과급, 역량급 등 미국의 임금제도들이 영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영국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동일노동-동일임금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들로 인하여 직무급 임금체계가 확대되었다. 1970년 이전에 일반적이었던 단체협약에서의 남·여 근로자에 대한 분리된 조항은 1970년 Equal Pay Act를 계기로 .. 더보기 일본의 임금체계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임금체계의 변화는 연령 또는 연공에 따른 임금체계의 연공성 제거 또는 완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연공급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없으나,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당시 전력회사의 노동조합이었던 전기산업노조가 요구하여 도입된 전산형(電産型) 임금체계를 본격적인 연공급으로 보고 있다. 전산형 임금은 연령에 의해 결정되는 본인급이 44.3%, 근속연수로 결정되는 근속급이 4.4%, 가족 수에 의해 결정되는 가족급이 18.9%를 차지하여, 임금의 67%가 연령 및 가족상황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체계였다. 전산형 임금체계에 대한 개선 노력은 경제가 안정되기 시작한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일본경영자 단체연맹을 중심으로 직무급 도입 주장이 시작되었으며, 1962년 철강대기업.. 더보기 독일의 임금체계 독일은 전통적으로 산업별 단체협약에 의해 임금이 결정되고, 전형적인 임금체계는 직무급이다. 최근에는 작업성과와 능률을 평가하여 보상해 주기 위해 성과를 임금체계에 반영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24년 과학적 관리의 보급을 목표로 하는 REFA(작업시간측정전국위원회)가 창립되었고, 1940년대 초반에 이미 금속산업에서는 직무를 기초로 한 임금 등급, 직무의 개별 구성요소를 단위로 한 직무등급 평가, 분석적 직무평가 방법 등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942년 3월 DAF(독일노동전선)와 철강 및 금속산업 대표자들은 교섭을 통해 “철강 및 금속산업을위한 임금그룹 카탈로그(LKEM)를 제시했고, 사용자들은 노조가 배제된 상태에서 과학적인 직무평가절차를 통해 임금을 결정했다. 이 시기 여성 및 외국인근로자 비중.. 더보기 미국의 임금체계 미국의 전형적인 임금체계는 직무급으로 동일노동-동일임금의 원칙을 중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직무급에 숙련급·역량급 등 속인적 요소 및 성과급 등 변동적 급부를 가미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이 직무급을 기반으로 임금체계가 발전하게 된 배경에는 크게 3가지 정도의 요인을 꼽을 수 있다. 첫째, 경제·사회적 환경을 들 수 있다. 미국에서 직무급의 기원은 19세기 후반 과학적 경영론을 주장했던 테일러(Frederick Taylor)로 거론된다. 테일러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을 구성요소들로 세분화해 분석하며 세분화된 직무실행 과정을 단계별로 효율화시키려고 했는데, 이러한 과정이 직무분석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별 능력이나 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근로자에게 일관된 성.. 더보기 우리나라의 임금체계 우리나라의 임금체계의 변천과정은 경제개발이 본격화된 1960년대 초반 이후에서 1987년 민주화 운동까지(1기), 1987년부터 1998년 외환위기까지(2기), 외환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3기) 등 크게 3개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에는 1960년대 초반 이후 연공급적 성격의 임금체계가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임금체계는 현재에 비해서는 비교적 연공성이 약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연공급적 성격의 임금체계는 생산직 근로자보다는 주로 사무관리직 근로자에서 나타나고 있다. 1985년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이 산하 노조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106개 기업 중 정기승급제가 없는 곳이 39.6%, 호봉승급제가 있지만 승급시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차별승급이 이뤄지는 곳이 29.2%,..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