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혼율 및 이혼에 대한 태도 변화 이혼율의 변화 이혼건수는 2003년에 가장 많았다가 2004년에는 이혼통계를 공식적으로 작성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혼건수와 조이혼율은 2004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다. 에서 보듯이 201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이혼은 11만 5,500여건으로 2009년의 12만 4,000여건에 비해 8,500여건 감소(-7.1%)하였다.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를 나타내는 조이혼율도 2014년 2.3건으로 2009년의 2.5건보다 0.2건 감소하였고, 같은 기간 15세 이상 남녀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를 나타내는 일반이혼율도 남녀 각각 0.6건과 0.7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이혼 감소에는 2008년부터 도입된 이혼숙려기간 의무화 및 이혼 전 상담 제도가 영향을 미쳤을 가.. 더보기
가족구조 가족구조에서 가장 지속적이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변화는 가족의 소규모화이다. 가구 규모의 축소가 장기간 지속되어 평균 가구원수는 1985년 4.1명에서 2010년 2.8명으로 감소하였다. 가구규모의 축소는 3세대 이상 확대가족 비중이 감소하고 1세대가구 및 1인가구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과 관련된다. 3세대 이상 가구는 1990년 12.5%에서 2010년 6.1%로 꾸준히 감소하였고, 같은 기간 2세대가구도 66.3%에서 51.2%까지 감소하였다. 반면 1세대가구는 1990년 10.7%에서 2010년 17.4%로 증가하였다. 특히 1인가구의 증가 현상이 두드러진다. 1인가구의 비율은 1990년 9.0%에서 2010년 23.8%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그림 Ⅱ-1). 1인가구의 증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 더보기
노인의 여가생활과 사회활동 가족생활의 변화와 은퇴 등으로 여유시간이 늘어나는 노년기에는 여가생활과 사회활동이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대수명이 80세를 넘어서면서 소위 ‘100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은퇴 후 노년기의 많은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되었다. 효과적인 여가시간 활용과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는 노년기의 적응과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한국 노인의 82.4%는 TV 시청 등으로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29.7%만이 여행을 경험하고 있다. 단체참여는 이보다 더 적극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친목단체(43.3%) 참여는 활발한 반면 동호회(4.9%)나 자원봉사단체(4.5%), 정치사회단체(0.5%) 참여는 매우 저조하다.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는 지난 10년간 두 배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