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인의 지역별 발생률 [그림 Ⅹ-17]은 서울 지역의 살인 발생 추이를 보여준다. 서울에서의 살인사건 발생은 2005-2007년 인구 10만 명당 평균 2.1건에서 2008-2010년 2.5건으로 증가했다가 2011-2013년 2건으로 감소하였다. 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살인율 상·하위 5위권 지역을 제시한 것이다. 살인율이 높은 지역은 2011-2013년을 기준으로 영등포구, 서대문구, 종로구, 동대문구, 용산구 등이다. 영등포구(4.3건)의 살인율은 이 기간 서울 평균(2.0건)보다 2.2배 높고 양천구(0.8건)보다는 5.4배 높은 수준이다. 영등포구, 종로구, 용산구는 중구, 구로구와 함께 2008-2010년 상위 5위권에 포함되었는데, 이 기간 중 1위인 영등포구(6.2건)의 살인율은 25위인 마포구(1.1건).. 더보기
사회적 안전 범죄 범죄율은 인구 10만 명당 발생건수로 나타내는데, 형법범죄와 특별법범죄를 포함하는 전체 범죄율은 2008년 이후 감소하다가 2010년부터 소폭이지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통상 강력범죄라고 할 수 있는 살인, 강도, 절도, 사기, 폭행, 강간 등의 형법범죄 발생률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나 도로교통법 위반과 같은 특별법범죄 발생률은 2008년까지 큰 폭의 등락을 보이다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크게 감소한 후 최근까지 정체되어 있다(그림 Ⅹ-9). 주요 강력범죄인 살인, 상해, 폭행, 성폭력 및 방화 범죄의 발생건수를 살펴보면(표 Ⅹ-2), 살인범죄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9년에 일시적으로 증가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해.. 더보기
인적 사고 화재 화재는 교통사고와 함께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인적 재난으로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지난 30년간 화재 발생추이를 보면, 2000년대 초반까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잠시 주춤한 후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7년에는 약 5만 건으로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후 소폭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그림 Ⅹ-4). 화재는 주로 건축물에서 발생하지만 차량, 선박, 항공기 등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건축물 종류는 일반주택, 공동주택, 음식점 순이다. 건축물 화재로 인한 피해는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증가하다가 2002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최근 화재 발생이 감소하는 것은 내화재를 사용하거나 방화시설을 설치하는 건축물이 증가하고 낡은 주택과 재래식 시설이 교체되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