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통계

2023년 자살률

2022.03.17 - [시사 정보/통계] - 대한민국 자살률

 

대한민국 자살률

통계청(통계개발원)의 '국민 삶의질 2021'이 발간됐다. 자살률 부문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면 남자의 자살률이 여자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점, 전반적으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지만 70세 이상의

freshyk.tistory.com

2023.05.05 - [시사 정보/통계] - 대한민국 자살률

 

대한민국 자살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자살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남자의 자살률이 여자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자살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아래는 발췌

freshyk.tistory.com

2023.06.10 - [시사 정보/통계] - 청소년 자살률

 

청소년 자살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자살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자살은 아동·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다. 2018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던 것이 2021년에는 2000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자

freshyk.tistory.com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실린 '자살률(Suicide rate)'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3년 10만 명당 27.3명, 전년대비 2.1명 증가

 

지표정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

 

측정방법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 ÷ 주민등록연앙인구) × 100,000

 

 

모든 자살이 삶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삶의 만족도와 자살률은 서로 관계가 있다. 자살은 우울증과 연관되어 개인의 정신건강을 보여주는 지표로 개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높다. 또한 자살률은 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통합의 정도를 보여주며, 특히 사회의 급격한 변동이나 불안정성이 증가했을 때 자살률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2023년 전체 자살자수는 13,978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27.3명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인구 10만 명당 2.1명이 증가하였다. 자살률은 2001년 인구 10만 명당 14.6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 2005년에는 24.8명으로 4년간 인구 10만 명당 10명 이상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31.7명으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7년 이후 다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성별로 비교해보면 남녀 모두 2023년에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남자 자살률은 202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38.3명으로 여자(16.5명)에 비해 두 배 이상 높다. 자살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나 특히 70세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40~60대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30~33명 이내인 반면, 70대는 39.0명, 80세 이상에서는 59.4명으로 증가한다. 성 및 연령별 자살률을 비교해보면, 2023년 남자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률이 높아지며, 월등히 높은 70세 이상을 제외하면 40~60대는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여자의 경우 70세 이상을 제외하면 30~40대에서 자살률이 높아,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률이 높아지는 남자와 차이를 보인다. 10~1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남자보다 여자의 자살률이 더 낮은 반면, 10~19세는 남자 7.1명, 여자 8.8명으로 여자가 더 높다. 2022년과 비교해보면 전반적으로 자살률이 증가하였으나, 남녀 모두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자살률이 감소하였고, 10~19세 남자와 20~29세 여성의 자살률이 소폭으로 감소하였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한국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자살률이 월등히 높다. 한국의 자살률은 비교대상 국가들 가운데 최상위 수준이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비교 자료 기준으로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 명당 24.3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리투아니아가 18.5명으로 높다. 일본의 자살률은 15.6명으로 높은 편이나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크며, 대부분의 국가들이 10명 전후로 나타난다. 2000년 이후 OECD 국가의 자살률은 대부분 감소 추세이며, 2000년에 자살률이 높았던 국가인 라트비아, 헝가리,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의 국가들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15명 미만의 자살률을 보인다.

반응형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건강수명  (1) 2025.06.30
2023년 사회단체 참여율  (0) 2025.06.30
2023년 기대수명  (0) 2025.06.29
2023년 지역사회 소속감  (0) 2025.06.29
2024년 가족관계 만족도  (0)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