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통계

코로나 19 장기화의 정신건강 영향

 

통계청(통계개발원)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1>의 [코로나19 장기화와 정신건강 영향 - 유명순 (서울대학교)]에 관한 부문의 '코로나 19 장기화의 정신건강 영향'을 살펴보자.

전반적인 코로나 블루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길어지는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스트레스와 피로를 느낀다는 사람이 2021년 8월 기준으로 85% 이상을 기록했다. 주요 감정으로는 지치고 우울하고 짜증나며 무기력하다는 것이 꼽혔다.

코로나19로 인한 삶의 질도 당연히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데 연령으로는 20대, 직업으로는 자영업자의 부정적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2021년 8월 기준, 일상의 회복도는 50점에 미치지 못했고 주부의 일상회복 점수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코로나19와 우울 수준을 보면 여성·20대·저소득층·자영업자의 점수가 꾸준하게 평균보다 높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코로나19 장기화의 정신건강 영향

 

코로나19 장기화의 피로감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느끼는 스트레스나 피로감을 올해 3월부터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의 85% 이상이 코로나19 대응 피로감을 호소하는 가운데, 스트레스와 피로를 ‘매우 많이 느낀다’는 응답이 전체의 4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런 거리두기 지속으로 의한 스트레스는 ‘지치고 무기력함’의 느낌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27).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코로나19와 삶의 질

코로나19가 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1점(매우 긍정적 영향)-10점(매우 부정적 영향)으로 질문한 뒤 평균 점수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7점대를 기록하면서 코로나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는 가운데, 연령 중 20대가, 직업 중 자영업자의 평균 점수가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그림 Ⅲ-28).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반응형


코로나19로 위축된 일상의 회복도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일상의 회복도를 0점은 ‘완전한 일상정지 상태’, 100점은 ‘완전한 이전 일상 상태’로 정하고 점수를 매기도록 한 조사가 작년과 올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올해 8월에도 절반의 회복인 50점에 미치지 못했고(그림 Ⅲ-29), 특히 주부의 일상회복 점수가 이전 조사와 일관되게 전체 평균보다 낮은 수준(43.5점)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코로나19 우울과 회복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을 활용하여 우울의 수준을 탐색하는 조사가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작년 10월 평균 6.8점이었던 우울 점수는 올해 1월 말에는 7.9점으로 상승하였고, 2월과 8월 조사에서는 그보다는 낮아졌으나 여전히 작년 대비 점수가 높았다.

우울 점수는 여성, 20대, 저소득층(월평균 가구 소득 200만 원 미만), 자영업자에게서 꾸준하게 전체 평균보다 높다(그림 Ⅲ-30).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한편, 올해 8월 한국판 정신건강회복 척도(MHRM-K)의 하위 영역인 ‘곤경 극복’의 4개 문항을 적용한 결과, 전 항목에서 우울군은 비우울군보다 평균 점수가 낮았고(그림 Ⅲ-31),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코로나19 스트레스

Brunet 등이 개발한 외상 직후 트라우마 스트레스 측정 도구(peritraumatic distress inventory)를 적용하여 코로나 19 이후 스트레스 수준을 작년부터 올해까지 지속적으로 조사하였다. 절단값을 적용하여 분포를 살핀 결과, 스트레스로 인한 위험이 없는 경우를 제외한 스트레스 집단의 비율은 작년 5월 93.3%에서 8월 95.9%로, 그리고 올해 2 월 95.1%에서 8월 90.7%로 큰 변화 없이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즉각적인 도움 필요’ 집단의 비율은 작년 5월, 8월 및 올해 2월에 걸쳐 증가하다가 최근 8월에는 약 10%p 감소한 수준을 보였다(그림 Ⅲ-32).

 

<한국의 사회동향 2021> 발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