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

우울감 경험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우울감 경험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우울감은 일상적인 스트레스보다 심각하지만 우울증이라는 의학적 진단에까지는 미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남자보다 여자의 우울감 경험률이 높고, 30~39세와 70세 이상의 우울감 경험률이 다른 연령그룹보다 높은 것이 특징이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우울감 경험률 지표정의 최근 1년 동안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경험한 사람들의 비율 측정방법 19세 이상 응답자 중 최근 1년 동안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 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 우울감 경험률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는 인구의 비율로, 정신적 안전상태를 가늠.. 더보기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심각한 아동학대 사례가 자주 보도되자 사회적 관심도도 높아지고 인식 개선이 되면서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 코로나19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가정 내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가 이전보다 늘었다. 최근에는 신체학대와 정서학대가 대부분이고 방임은 과거에 비해 감소하고 있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지표정의 해당연령 인구 대비 아동학대 피해를 경험한 아동인구 수 측정방법 (신고접수된 아동학대 의심사례 중 아동학대로 판단된 건수 ÷ 18세 미만 추계인구) × 100,000 아동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 더보기
배우자 간 폭력 경험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배우자 간 폭력 경험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배우자 간 폭력 경험률은 2016년에 비해 2019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유형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피해 경험률이 높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배우자 간 폭력 경험률 지표정의 지난 1년간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률 측정방법 만 19세 이상 응답자의 배우자(사실혼 포함)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률 2019년 배우자 간 신체적 폭력, 정서적 폭력, 경제적 폭력, 성적 폭력 중 어느 하나라도 경험한 가정폭력 피해 경험률은 8.8%로 2016년(14.1%) 대비 5.3%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통제까지 포함할 경우 폭력피해 경험률은 27.5%로 높아지며, 이는 3년 전 41.5%에 비해 14.0%p.. 더보기
국내 체류 외국인 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국내 체류 외국인 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0년 코로나19로 체류 외국인 수가 급격히 감소했으나 2022년을 기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체류 외국인 중 가장 많은 국적은 중국이며 다음으로 베트남, 태국, 미국 순이다. 불법체류자는 1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국내 체류 외국인 수 지표정의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수 측정방법 각년도 말 기준 장기체류 외국인과 단기체류 외국인 수의 합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매년 말 기준으로 국내 단기(90일 이내) 또는 장기체류(90일 초과) 중인 외국인 수의 합으로, 사회통합정책 수립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2022년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2,246천 명으로 전년(1,957천 명) 대비.. 더보기
국가별 남성 성기 평균 크기 - 2 2022.04.19 - [시사 정보/단신] - 국가별 남성 성기 평균 크기 세계인구비교(worldpopulationreview)에서 2023년 기준 국가별 음경 크기를 발표한 내용이다. 연구에 따르면 평균 음경 크기는 대중문화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국가마다(그리고 인종마다) 더 작고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기된 음경의 전 세계 평균 길이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과학적 연구가 시도되었고 결론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간 남성의 평균 음경 길이는 12.9cm(5.1인치)에서 13.92cm(5.5인치) 사이인 것으로 계산된다. 음경 크기에 관한 오해 여러 연구에서 키와 음경 길이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지만 상관관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손가락의 길이를 비교한 일부 .. 더보기
독거노인 비율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독거노인 비율'에 관련된 내용이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 중.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으로 특히 취약. 65세 이상 인구의 다섯 명중 1명이 독거노인인 상황. 노인부부나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보다 신체적·정신적 취약성을 보임.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독거노인 비율 지표정의 65세 이상 추계인구 중 65세 이상 1인가구 비율 측정방법 (65세 이상 1인 가구수 ÷ 65세 이상 인구) × 100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정책에 대한 많은 변화 요구와 함께,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노인인구 중 특히 혼자 사는 노인은 더욱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하다. 65세이상 인구.. 더보기
노령화지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노령화지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노인(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다. 2019년 이후 두자리 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인구는 증가추세, 유소년인구는 감소추세가 지속되면서 2017년 전체인구대비 비중이 역전된 것이 인상적이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노령화지수 지표정의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당 노인(65세 이상) 인구 측정방법 (노인(65세 이상) 인구 ÷ 유소년(0~14세) 인구) × 100 노인은 재난안전법(제3조)에서 장애인, 아동, 저소득층 등과 함께 재난에 취약한 안전취약계층으로 정의되어, 안전정책 서비스의 우선지원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 더보기
등록장애인 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등록장애인 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수는 전체 인구의 5.1% 수준이다. 장애유형으로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많다. 65세 이상이 전체 장애인의 절반을 넘는데 고령화에 대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등록장애인 수 지표정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 장애인등록을 한 장애인 수 측정방법 각년도 말 기준 장애인 등록 인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심리·사회적 취약정도가 높아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쉽다. 2021년 등록장애인 수는 2,644,70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1% 수준이다. 전년(2,633,026명)에 비해 11,674명, .. 더보기
남자 마라톤계의 새로운 강자 켈빈 킵툼 케냐 출신의 1999년생 켈빈 킵툼(Kelvin Kiptum)은 '마라톤의 전설' 엘리우드 킵초게를 잇는 선수로 급부상 중이다. 2019년부터 유럽의 하프 마라톤에 출전하며 58~59분대의 기록을 보이던 이 선수는 지난해 12월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처음 풀코스 마라톤에 데뷔했다. 데뷔와 동시에 우승한 이 대회에서의 기록은 2시간 1분 53초. 이전 기록 보유자인 킵초게의 기록을 넘어서는 대회 신기록이다. 지난 4월에는 런던 마라톤에 출전해서 2시간 1분 25초라는 역대 2위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16초 차이로 세계 기록을 놓쳤지만 후반부를 59분 45초로 주파, 네거티브 스플릿(Negative split)의 저력을 보여주며 2위를 3분 가까이 따돌렸다. 흥미로운 사실은 대회 전 기자회견에서 "지금은 .. 더보기
사회안전 인식도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사회안전 인식도'에 관련된 내용이다.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안전감의 정도를 나타낸다. 발간 시기를 고려하면 2022년 이태원 할로윈 참는 반영되지 않았을 걸로 추측된다.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개인정보유출·신종질병·범죄 등이 주로 꼽힌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사회안전 인식도 지표정의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느끼는 인구의 비율 측정방법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매우 안전하다’ 또는 ‘비교적 안전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을 합산 사회안전 인식도는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안전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2022년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비율은 3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