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정보/통계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거노인 비율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독거노인 비율'에 관련된 내용이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 중.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으로 특히 취약. 65세 이상 인구의 다섯 명중 1명이 독거노인인 상황. 노인부부나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보다 신체적·정신적 취약성을 보임.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독거노인 비율 지표정의 65세 이상 추계인구 중 65세 이상 1인가구 비율 측정방법 (65세 이상 1인 가구수 ÷ 65세 이상 인구) × 100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정책에 대한 많은 변화 요구와 함께,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노인인구 중 특히 혼자 사는 노인은 더욱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하다. 65세이상 인구.. 더보기 노령화지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노령화지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노인(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다. 2019년 이후 두자리 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인구는 증가추세, 유소년인구는 감소추세가 지속되면서 2017년 전체인구대비 비중이 역전된 것이 인상적이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노령화지수 지표정의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당 노인(65세 이상) 인구 측정방법 (노인(65세 이상) 인구 ÷ 유소년(0~14세) 인구) × 100 노인은 재난안전법(제3조)에서 장애인, 아동, 저소득층 등과 함께 재난에 취약한 안전취약계층으로 정의되어, 안전정책 서비스의 우선지원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0~14세) 인구 100명 당 .. 더보기 등록장애인 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등록장애인 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 수는 전체 인구의 5.1% 수준이다. 장애유형으로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많다. 65세 이상이 전체 장애인의 절반을 넘는데 고령화에 대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등록장애인 수 지표정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 장애인등록을 한 장애인 수 측정방법 각년도 말 기준 장애인 등록 인구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심리·사회적 취약정도가 높아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쉽다. 2021년 등록장애인 수는 2,644,70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1% 수준이다. 전년(2,633,026명)에 비해 11,674명, .. 더보기 사회안전 인식도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사회안전 인식도'에 관련된 내용이다.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안전감의 정도를 나타낸다. 발간 시기를 고려하면 2022년 이태원 할로윈 참는 반영되지 않았을 걸로 추측된다.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개인정보유출·신종질병·범죄 등이 주로 꼽힌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사회안전 인식도 지표정의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느끼는 인구의 비율 측정방법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해 ‘매우 안전하다’ 또는 ‘비교적 안전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을 합산 사회안전 인식도는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안전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2022년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비율은 33... 더보기 야간보행 안전도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야간보행 안전도'에 관련된 내용이다. 야간보행 안전도는 야간에 혼자 걸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남성과 여성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야간 보행에 대한 안전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왔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야간보행 안전도 지표정의 야간보행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인구의 비율 측정방법 야간에 혼자 걸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지에 대해 ‘매우 안전’ 또는 ‘비교적 안전’이라고 응답한 비율 야간에 혼자 걸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나타내는 야간보행 안전도는 안전영역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지표로, OECD Better Life Index(BLI)에서도 ‘가해에 의한 사망률’과 함께 안전영역을 대표하는 지표로 활용.. 더보기 위험기상일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위험기상일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은 여전히 빈번하다. 올여름 역대급 폭우·폭염도 예보되어 있는 상황이 우려스럽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위험기상일수 지표정의 기온, 강수량 등 기후요소가 평년값 대비 현저히 높거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이상기후를 보인 강풍, 폭염, 한파, 호우 일수 측정방법 폭염은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일수, 한파 10월에서 익년 4월까지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인 날의 일수, 호우는 시간당 강우량이 30mm 이상인 일수, 강풍은 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 일수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요소가 평년값 대비 현저히 높거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 더보기 성폭력 발생건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성폭력 발생건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성폭력은 강간과 강제추행뿐만 아니라 대방의 의사에 반해서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폭력을 포함한다. 2021년 성폭력 발생건수는 전년대비 8.9% 증가했고 미검률 역시 4.5%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강간 및 강제추행이 가장 많았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성폭력 발생건수 지표정의 경찰에 대한 신고 등에 의한 연간 성폭력 발생건수 측정방법 연간 시도 경찰청에 신고된 성폭력 발생건수의 합 성폭력이라 함은 강간이나 강체추행 뿐만 아니라, 언어적 성희롱, 음란성메세지 및 몰래카메라 등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서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폭력을 포함한다. 전국 각 시도 경찰청으로 신고된 성폭력 발생건수는 2021년 32,080건으.. 더보기 사이버범죄 발생건수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사이버범죄 발생건수'에 관련된 내용이다. 정보통신망에서 일어나는 범죄인 사이버범죄는 크게 세 가지(정보통신망 침해범죄·정보통신망 이용범죄·불법콘텐츠범죄)로 구분된다. 사이버범죄 발생건수는 2020년 대비 2021년에 7%가량 감소했지만 검거율도 3.8%가량 낮아졌다. 정보통신망 이용범죄가 전체 사이버범죄의 80%이상을 차지하며, 불법컨텐츠범죄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사이버범죄 발생건수 지표정의 정보통신망에서 일어나는 범죄로 정보통신망 침해범죄, 정보통신망 이용범죄, 불법콘텐츠범죄로 구분됨 측정방법 정보통신망 침해범죄, 정보통신망 이용범죄 및 불법콘텐츠범죄 발생건수의 합 사이버범죄란 정보통신망에서 일어나는 범죄를 뜻하.. 더보기 우리나라 범죄발생률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범죄발생률'에 관련된 내용이다. 인구 10만 명당 형법 범죄 건수는 2021년에 비해 2022년에 12%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비교는 쉽지 않지만 살인범죄의 경우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10만 명당 0.6건으로 국제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범죄발생률 지표정의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형법범죄 발생건수 측정방법 (형법범죄 발생건수 ÷ 장래추계인구) × 100,000 범죄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형법 범죄 발생건수를 의미하며, 사회의 안전수준과 치안상태를 나타낸다. 2021년 우리나라 형법범죄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774건으로 전년(2,015건)에 비해 241건(12.0%) 감소하여 범죄 위험 수준이 크게 .. 더보기 야간보행 안전도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이 발간됐다. 야간보행 안전도 부문을 살펴보면 조사 항목의 변화가 있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2/3 정도는 야간보행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남자와 여자가 30% 이상의 현격한 차이가 난다. 도시와 농촌을 놓고 봤을 때 농촌의 안전도가 꾸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야간 보행에 대한 안전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아래는 발췌 내용이다. ----------------------------------------------------------------------------------------------------------------------------------- □ 야간보행 안전도 - Feeling safe walking alone at night 정의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