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정보/통계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한민국 인구 성장과 구조의 변화 지난 20세기 초까지 고출산, 고사망의 전통적인 특성을 지니던 한국의 인구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여 1980년 중반에 제1차 인구변천을 마친 것으로 인정된다. 출생률과 사망률이 선진국 수준으로 낮아졌던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한국사회가 인구변천을 마치고 곧 새로운 인구안정기로 접어들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 인구 전문가들의 전망이었다. 그러나 출산력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저하하였으며, 2000년대 진입 이후에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사망력도 지속적으로 저하하였다. 그 결과, 이제 한국사회는 인구와 노동력의 급격한 감소를 걱정하고 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대한 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한국의 인구규모는 2015년 현재 5..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