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3 - [시사 정보/통계] -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이 발간됐다. 삶의 만족도 부문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면 2014년 이후로 삶의 만족도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이 같은 수준을
freshyk.tistory.com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실린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3년 6.4점, 전년대비 0.1점 감소
지표정의 현재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정도
측정방법 현재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에 대한 0~10점 척도 응답의 평균값
삶의 만족도는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의 인지적인 측면을 측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동일한 조건에서도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간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삶의 질은 다차원적이고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 중요하기 때문에 삶의 만족도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삶의 만족도는 2023년 6.4점으로 2022년 6.5점에 비해 0.1점 감소하였다. 2013년 5.7점에서 2017년 6.0점으로 증가한 이후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다, 2022년 6.5점에서 2023년 소폭 감소했지만 이전 추세보다는 높은 편이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상에서의 전반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지만 삶의 만족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코로나19 이후 삶의 만족도는 증가 추세이다.
삶의 만족도는 남녀 모두 6.4점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고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6.2점으로 낮고, 40대 이하에서는 6.5~6.6점으로 나타나 60대를 제외하면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2022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나 삶의 만족도가 낮은 편인 60세 이상에서 2022년 6.4점에서 2023년 6.2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 100만 원 미만 저소득층의 삶의 만족도는 5.7점인데 비해, 100~200만 원 미만에서는 6.1점으로 0.4점 더 높으며, 500만 원 이상은 6.6점으로 100만 원 미만에 비해 0.9점 더 높다.
직업별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전문관리직과 사무직은 모두 6.7점인데 비해, 농림어업은 6.1점, 기능노무직은 6.3점으로 낮다.
2022년과 비교해보면 모든 집단에서 대부분 삶의 만족도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거나 0.1점 정도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200만 원 미만 가구소득 계층, 농림어업직에서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2년에는 이들 집단에서 전년대비 삶의 만족도의 상승폭이 높아서 연령, 소득, 직업별 격차가 감소했던 것과는 반대되는 결과로 2021년의 연령, 소득, 직업별 격차와 비슷한 수준이다.
삶의 만족도는 OECD에서 작성되는 ‘더 나은 삶 지수BLI’의 지표 중 하나이며, UN의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에서 활용되는 지표이다. 두 지표 모두 국가간 비교를 위해 갤럽월드폴Gallup World Poll 조사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갤럽월드폴 조사가 매년 진행되지 않는 국가들도 있기 때문에 세계행복보고서에서는 단년도 자료가 아닌 3개년도의 평균값으로 국제비교를 제시하고 있다.
세계행복보고서의 국제비교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삶의 만족도는 2021~2023년에 6.06점으로 OECD 평균(6.69점)보다 0.63점 낮아 하위권으로 일본, 포르투갈, 헝가리 등과 비슷한 수준이며, 143개 국가 중에서는 52위로 나타났다. OECD 국가 중에서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세 국가만 6점 미만으로 나타났다. 반면, 핀란드는 7.74점으로 가장 높고, 덴마크, 아이슬란드가 7.5점 이상, 스웨덴, 이스라엘, 네덜란드, 노르웨이가 7.3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다. 20위권 이내의 상위권에 OECD 19개 국가가 포함되어 있다.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0) | 2025.07.04 |
---|---|
2024년 야간보행 안전도 (0) | 2025.07.03 |
2024년 학교생활 만족도 (1) | 2025.07.03 |
2023년 비만율 (2) | 2025.07.02 |
2024년 스트레스 인지율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