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통계

2024년 학교생활 만족도

2022.03.17 - [시사 정보/통계] - 학교생활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통계청(통계개발원)의 '국민 삶의 질 2021'이 발간됐다. 학교생활 만족도 부문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면 2020년은 코로나19로 등교일수가 줄어들고 온라인 수업이 병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freshyk.tistory.com

2023.05.06 - [시사 정보/통계] - 학교생활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련된 내용이다.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022년 51.1%로 2020년 59.3%보다 8.2%p 감소했는데, 2022년 전면등교와

freshyk.tistory.com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실린 '학교생활 만족도(School life satisfaction)'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4년 57.3%, 2022년보다 6.2%p 증가

 

지표정의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학생의 비율

 

측정방법 중·고등학생 중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해 ‘매우 만족’ 또는 ‘약간 만족’이라고 응답한 비율

 

 

학교의 물리적인 환경 및 시설 수준만으로는 교육의 질적 조건과 과정을 측정하기 어렵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심리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생활 만족도와 같은 학생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 학교교육의 질을 가늠할 필요가 있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습자들의 학교생활 참여와 활동을 살펴보는 지표로 학습과정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학습자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그 자체로도 학생들의 삶의 질이나 웰빙을 진단하는데 의미있는 지표라 할 수 있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024년 57.3%로 2022년 51.1%에서 6.2%p 증가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2010년 43.1%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20년 코로나19 시기 59.3%까지 증가하였고, 2022년 51.1%로 급감한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등교일수가 줄었고, 온라인 수업이 병행되는 등 기존과는 다른 학교생활이 이루어졌음에도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큰 변화 없이 증가 추세였으나 2022년 전면등교와 코로나19 방역지침 등으로 인한 학교생활의 변화가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전반적인 학교생활이 아닌 세부항목별 만족도를 보면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71.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교사와의 관계 만족도가 65.3%로 높다. 반면,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50.3%로 가장 낮다. 2022년과 비교해보면 교우관계 만족도는 2.5%p 감소한 반면, 다른 항목들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시설설비와 학교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3%p 이상 증가하였다.

반응형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0) 2025.07.04
2024년 야간보행 안전도  (0) 2025.07.03
2023년 비만율  (2) 2025.07.02
2024년 스트레스 인지율  (0) 2025.07.02
2023년 사회적 고립도  (0)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