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통계

2023년 사회적 고립도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실린 '사회적 고립도(Social isolation)'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3년 33.0%로 2021년보다 1.1%p 감소

 

지표정의 신체적, 정신적 위기 상황에서 하나라도 도움받을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

 

측정방법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에서 둘 중 하나라도 도움받을 사람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

 

 

사회적 고립도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망이 얼마나 촘촘하며 효율적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회적 유대가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인적, 정서적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것은 개인으로는 삶의 질과 관련되면서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사회의 질과도 관련된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아플 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또는 ‘힘들 때 이야기할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받을 수 있는 곳이 하나라도 없는 사람의 비율인 사회적 고립도는 2023년 33.0%로 2021년 34.1%에 비해 1.1%p 감소하였다. 사회적 고립도는 2013년 32.9%에서 소폭이지만 감소 추세를 보여왔으나, 코로나19로 사람들과의 관계가 축소되고 외부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2021년에 사회적 고립도는 34.1%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2023년에 소폭으로 다시 감소했지만 아직 코로나19 이전의 추세로 회복되지는 않았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성별로는 남자의 사회적 고립도는 35.2%로 여자(31.0%)보다 높은 편이다. 연령별로는 고령층에서 사회적 고립도가 높다. 19~29세의 사회적 고립도는 24.5%, 30~39세는 27.5%인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40.7%로 높아진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에서 도움받을 사람이 없는 비율은 26.0%,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에서 도움받을 사람이 없는 비율은 20.5%로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에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받을 곳이 없다는 비율은 26.9%로, 다른 연령대가 14~20%의 응답을 보이는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인 도움을 받는데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것을 보여준다.

반응형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비만율  (2) 2025.07.02
2024년 스트레스 인지율  (0) 2025.07.02
2021년 건강수명  (1) 2025.06.30
2023년 사회단체 참여율  (0) 2025.06.30
2023년 자살률  (0)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