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통계

2023년 비만율

2022.04.01 - [시사 정보/통계] - 대한민국 비만율

 

대한민국 비만율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이 발간됐다. 비만율 부문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면 우리나라의 비만율은 아직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향후 높아질 가능성이 크고 비만이 고혈압과 당뇨

freshyk.tistory.com

 

2023.06.10 - [시사 정보/통계] - 청소년 비만율

 

청소년 비만율

다음은 통계청(통계개발원)의 에 실린 '비만율'에 관련된 내용이다.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2014년 이후 증가추세. 코로나19로 인한 외부활동의 감소도 영향을 미친 듯. 남자 비만율이 더 높은

freshyk.tistory.com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실린 '비만율(Obesity rate)'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3년 37.2%, 전년과 동일

 

지표정의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사람의 비율

 

측정방법 19세 이상 조사대상자 중 ‘체질량지수(BMI) = 체중(kg) ÷ [신장(m)]²’ 가 25 이상인 사람의 비율

 

 

비만은 비교적 새롭게 부각된 건강 위험요인으로 만성질환 발생의 중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비만은 가공식품 섭취의 증가와 영양의 과잉 섭취, 신체활동의 부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은 생활습관인 흡연이나 음주와 달리 경제발전과 생활방식의 변화와 맞물려 발생하는 구조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개선이 쉽지 않다. 특히 비만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및 다른 질병과의 관계가 높아 개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비만율은 2001년 29.2%에서 2005년 31.3%로 증가한 이후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오다, 2015년 이후 33~ 34% 수준에서 2020년 38.3%로 2019년보다 4.5%p 증가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이나 운동시설 등의 이용이 제한되고, 재택근무나 원격학습 등으로 인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비만율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짐작된다. 2021년에 37.1%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2023년 37.2%로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비만율은 2001년 31.8%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 반면, 여자의 비만율은 24~28% 사이에서 비슷한 수준이다. 2023년 남자의 비만율은 45.6%, 여자는 27.8%로 남자가 17.8%p 높으나 2022년보다(22.0%p) 성별 격차는 감소하였다.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발췌

 

연령별로 보면 비만율은 2023년 19~29세가 33.6%로 낮고, 50대에서 40.5%로 높은 편이나, 연령에 따른 편차가 크진 않다. 2013년과 비교했을 때 30대 이하에서 크게 증가하여 연령간 편차가 감소하였다.

반응형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야간보행 안전도  (0) 2025.07.03
2024년 학교생활 만족도  (1) 2025.07.03
2024년 스트레스 인지율  (0) 2025.07.02
2023년 사회적 고립도  (0) 2025.07.01
2021년 건강수명  (1)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