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70년대 인기 가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는 2003년에 인터넷 웹사이트에 자신의 저택이 찍힌 사진을 발견합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해안을 조사 중이던 사진 작가 케네스 애들먼(Kenneth Adelman)의 카메라에 찍힌 거죠.
그녀는 사생활 노출을 극도로 꺼렸기 때문에 사진을 삭제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자신작가가 그 요청을 거절하는 바람에 법정 소송으로까지 번지게 됩니다. 그런데 그녀의 소송 소식이 알려지면서 의도치 않게 저택 사진의 다운로드 수가 42만 명으로 급격히 늘어나게 되며 큰 관심을 받게 되죠.
이렇듯 스트라이샌드 효과(Streisand effect)는 관심을 피하기 위한 조치가 오히려 사람들의 관심을 더 받게 된다는 이론으로, 사람의 근본적인 호기심과 밀접한 관계를 갖습니다.
반응형
'시사 정보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립 효과(Isolated Effect) (0) | 2016.11.25 |
---|---|
언더독 효과(Underdog Effect) (0) | 2016.11.22 |
셜록 홈즈의 관찰과 추론 (0) | 2016.11.22 |
환경성과지표(EPI) (0) | 2016.11.21 |
포옹 효과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