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Ⅹ-19]는 서울 지역의 강도사건 발생 추이를 보여준다. 서울의 강도 발생률은 2005-2007년 인구 10만 명당 평균 12.4건에서 2008-2010년 11.4건과 2011-2013년 6.5건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표 Ⅹ-7>에는 서울시 자치구 중 강도율 상·하위 5위권 지역이 제시되어 있다. 2011-2013년 강도율 상위권 지역은 용산구,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강남구 등이다. 1위인 용산구(14.4건)의 강도율은 이 기간 서울 평균(6.5건)의 2.2배이고 최하위인 노원구(3.1건)의 4.6배 수준이다. 2008-2010년에도 중구, 종로구, 강남구, 동대문구가 1-4위를 차지했고 이들 지역 외에 금천구가 5위권에 들었다. 이 기간 1위 중구(25.7건)와 25위 노원구(5.9건) 간 강도율 차이는 4.4배이다. 2005-2007년에도 중구, 종로구, 강남구는 상위 1-3위를 차지했고 금천구와 서초구가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이 시기 1위 중구(26.6건)와 25위 노원구(5.2건) 간에는 5.1배의 차이가 관찰된다.
강도율 하위권 지역은 2011-2013년 기준으로 노원구, 동작구, 양천구, 성북구, 은평구 등이다. 이들 5개 지역 중 노원구, 양천구, 은평구는 2008-2010년에도 마포구, 도봉구와 더불어 하위 5위권에 포함되었다. 노원구, 양천구, 은평구는 2005-2007년에도 하위 5위권에 들었으며 도봉구와 강동구도 이 기간 하위 5위권에 포함되었다.
서울시의 강도사건 발생률은 2005-2013년 사이에 절반 가까이 감소했지만 자치구 간 차이가 크고 순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모습이다. 종로구, 중구, 강남구는 강도율 상위 5위권에 꾸준히 포함되었고, 노원구, 양천구, 은평구는 하위 5위권을 계속 유지하였다. 서대문구의 강도율 순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반대로 금천구는 지속적으로 하강하였다.
[그림 Ⅹ-20]은 전국 52개 주요 도시의 강도율 추이를 보여준다. 이들 지역의 강도율은 2005-2007년 10.6건에서 2011-2013년 6건으로 상당히 감소했지만 2008-2010년에 11.2건으로 증가한 후 감소한 것이어서 앞서 살펴본 서울 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표 Ⅹ-8>은 전국 52개 주요 도시 중 강도율 상·하위 10위권 지역을 제시한 것이다. 강도율이 높은 지역은 2011-2013년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안산시, 시흥시, 광주광역시, 천안시, 청주시, 구미시, 평택시, 대전광역시, 목포시 등이다. 1위인 부산광역시의 강도율(9.1건)은 최하위인 용인시(2.3건)보다 4배 높다. 이들 지역 중 6곳(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시흥시, 안산시, 천안시, 평택시)과 부천시, 구리시, 광명시, 수원시가 2008-2010년 상위 10위권에 포함되었다. 이 기간 1위 대전광역시(18.2건)와 52위 김천시(3.4건)의 강도율은 5.4배 차이가 난다. 2005-2007년 강도율 상위 10위권 지역에는 세 기간 내내 상위권에 든 2곳(천안시, 대전광역시), 2008-2010년 상위권 3곳(부천시, 구리시, 수원시), 2011-2013년 상위권 2곳(청주시, 구미시)과 함께 제주특별자치도, 창원시, 의정부시가 포함되었다. 이 기간 1위인 부천시(16.0건)와 52위인 정읍시(2.4건) 간에는 6.7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강도율이 낮은 지역은 2011-2013년의 경우 용인시, 광명시, 남양주시, 강릉시, 거제시, 양산시, 김천시, 파주시, 고양시, 군포시 등으로 나타난다. 이들 지역 중 4곳(남양주시, 용인시, 양산시, 김천시)과 순천시, 춘천시, 서산시, 정읍시, 아산시, 제천시가 2008-2010년 하위 10위권에 포함되었다. 2005-2007년 하위 10위권 지역에는 상위권을 계속해서 유지한 3곳(남양주시, 용인시, 양산시), 2008-2010년 하위 10위권 2곳(서산시, 정읍시), 2011-2013년 하위 10위권 2곳(군포시, 강릉시)과 익산시, 안동시, 여수시가 포함되었다.
전국적으로 강도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간의 차이가 감소했는데, 이는 강도사건이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정도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도율 상위권 지역과 하위권 지역 모두 안정적으로 순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강도율 상위 10위권에 속했다가 하위 10위권으로 바뀐 경우는 광명시에 불과하다.
[한국의 사회동향 2015 '살인, 강도, 강간의 지역 간 발생률 비교와 변화', 통계개발원]
'시사 정보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0) | 2016.08.20 |
---|---|
강간의 지역별 발생률 (0) | 2016.08.20 |
살인의 지역별 발생률 (0) | 2016.08.20 |
사회적 안전 (0) | 2016.08.20 |
인적 사고 (0) | 2016.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