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질병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체내에서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은 잘 일어나지 않아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복합 질병을 말한다. 전무가들은 현재 우리나라 30세 이상 3명 중 1명꼴로 대사증후군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성인병 예방의 요체는 먼저 대사증후군을 다스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돌연사, 각종 후유증 남기는 뇌졸중

  뇌졸중 환자는 절반 이상이 대사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터지는 뇌출혈을 통틀어 뇌졸중이라고 하는데, 한 번 발생하면 돌연사의 위험은 물론 사망하지 않더라도 반신불수가 되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특히 무서운 질병이다.


대한민국 병들게 하는 '1등 성인병', 당뇨

  한 조사에 따르면 당뇨 환자 가운데 50~60%에서 고혈압이, 70~80%에서는 고지혈증이, 60% 정도에서 복부비만이 발견되었다. 대충 어림잡아 보아도 대사증후군 증상이 있는 환자가 당뇨병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60%가 넘는 셈이다.


생명의 통로, 관상동맥을 지켜라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그러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장병을 일으키는 관상동맥질환의 사망위험이 3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흡연과 고지혈증, 고혈압 등이 관상동맥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질환들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불러올 위험이 높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HDL 콜레스테롤 - 남자 40mg/dL미만, 여자 50mg/dL미만 또는 이상지질혈증 약 복용자


혈압 - 130/80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 복용자


중성지방 - 150mg/dL 이상


허리둘레 -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공복혈당 - 공복혈당 100mg/dL 이상 또는 당뇨 약 복용자


  위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5가지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이 있다고 진단한다. 물론 4가지, 5가지 해당될수록 더 심각한 대사증후군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혹시 한 가지, 두 가지만 해당된다면 대상증후군은 아니지만 그것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체크리스트 항목 중 2/3 이상 해당된다면 대사증후군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팔다리는 가는데 배만 볼록 나온 '거미형 인간'이다.


쉽게 피곤하고 어지럼증을 느끼며, 조금만 걷거나 계단을 올라도 숨이 찬다.


□ 아랫배보다 윗배가 더 나왔으며 배의 피부가 두껍다.


가끔 왼쪽 가슴이 심하게 아프거나 숨이 차오는 증상이 있다.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이나 인스턴트식품을 즐겨 먹는다.


거의 사무실에 앉아 있거나 움직임이 없는 직업이다.


규칙적으로 운동해본 적이 없거나 한 지 오래 되었다.


휴식 시간에는 주로 TV를 보거나 가만히 쉬는 편이다.


담배와 술을 무척 즐긴다.


평소 위 건강이 좋지 않다.

[한화생명 '10대 질병 정복 길라잡이' 발췌]

반응형

'시사 정보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에 대한 흔한 편견 7가지  (0) 2016.11.21
큰 병을 의심케 하는 6가지 증상  (0) 2016.11.18
ADHD 치료제  (0) 2016.08.22
알레르기 비염 치료약 '항히스타민제'  (0) 2016.08.21
노로바이러스  (0) 2016.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