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국제

독일, 온라인 쇼핑몰 Top 10


독일, 온라인 쇼핑몰 Top 10



- 독일 온라인 쇼핑시장 성장세 -

-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활용 추천 –



□ 독일 온라인 쇼핑시장


 ㅇ 2016년 독일 온라인 시장 판매액은 442억 유로를 기록했으며, 2017년 말에는 전년도보다 45억 유로 증가한 487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ㅇ 이에 따른 2015년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520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2021년에는 58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ㅇ 2016년 독일 연방통계청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용자 연령대는 10대부터 65세 이상까지 다양하며, 그 중 25~44세 연령대의 82%가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고, 그 다음으로는 각각 16~24세의 68%, 45~64세의 67%가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독일 10대 온라인 쇼핑몰


 ㅇ 2015년 독일 아마존이 매출액 77억9000만 유로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고, Otto가 23억 유로, Zalando 약 10억 유로로 그 뒤를 따르고 있음.


 ㅇ 2016년 독일 Statista의 통계에 따르면 상위 5대 온라인 쇼핑몰 순위에는 변동이 없었으며, 아마존은 매출액은 95억1900만 유로를 기록해 전년 대비 22%가량 증가


 ㅇ 이를 이어 Otto는 10.5%, Zalando 17.6%, Notebooksbilliger 17.2%, Cyberport 29.7% 로 전년 대비 모두 큰 폭의 증가율을 보임.




□ 온라인 쇼핑몰 별 잘 팔리는 품목




□ 전망 및 시사점


 ㅇ 온라인 쇼핑몰은 해외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릴 기회의 통로

  - 온라인이라는 특성 때문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이용 가능

  - 최근 모바일 폰을 이용한 온라인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모바일 구매량이 증가추세를 나타냄.

  - 독일 소비자를 공략하기 위한 모바일 앱 등의 마케팅 전략 구사 필요


 ㅇ 아마존과 같은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자로 등록해 온라인 판매를 시도하는 것도 독일 시장 진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ㅇ KOTRA 해외 공동 물류창고 이용 추진

  - 독일의 바이어와 인터뷰에서 한국 제품을 수입하는 데 큰 걸림돌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함.

  - 우선 제품을 소량 주문해 현지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고 구매·수입량을 늘려가고 싶은데, 소량의 물건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운송비가 크므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답변을 함.

  - 독일 현지에 물류창고가 있어 소량이라도 제품구매가 가능하고 빠른 배송이 가능하면, 독일 바이어들과의 접촉이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함.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OTRA의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임.

[코트라(KOTRA) 2017년 6월 15일 내용 발췌]


반응형

'시사 정보 >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센터 입지로 뜨고있는 후쿠오카  (0) 2017.06.15
2017년 미국 헤드폰 시장동향  (0) 2017.06.15
코트디부아르 투자 매력  (0) 2017.06.15
일본이 주목하는 스타트업  (0) 2017.06.15
중국 Z세대  (0)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