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주석의 권력 이상'썰' 최근 수개월간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시진핑 주석의 권력 이상설(실각설, 숙청설 등)의 근원은 무엇일까? 먼저 핵심 배경으로 꼽히는 장유샤(张又侠)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과의 갈등설을 빼놓을 수 없다. 시진핑의 '절대 아군'으로 평가되던 장유샤는 시진핑에 이어 중국군 서열 2위인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이다. 바꿔 말해 최고의 군부 실세라고 할수 있다. 시진핑과 장유샤는 부친 대에서부터 인연을 맺은 '훙얼다이(红二代, 혁명 원로 자제)'이자 같은 산시성 출신으로, 고난의 시대 역시 같이 겪은 막역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시 주석이 집권 1, 2기 동안 군권을 장악하고 반대파를 숙청하는 과정에서 장유샤는 그의 '오른팔' 역할을 하며 절대적인 신임을 받은 것 역시 이에 대한 반증이다. 게다가 장유샤는 베트남과의.. 더보기 2024년 교육비부담도 다음은 국가통계연구원(통계청)의 에 실린 '교육비부담도(Degree of education cost burden)'에 관련된 내용이다. 2024년 60.9%, 2022년보다 3.2%p 증가 지표정의 학부모 중 자녀 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스럽다고 생각하는 인구의 비율 측정방법 학생 자녀를 둔 가구주 중 자녀 교육비가 가정 경제에 얼마나 부담되는지에 대해 ‘매우 부담스럽다’ 또는 ‘약간 부담스럽다’라고 응답한 비율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지출하는 비용은 가계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통합에도 영향을 미친다. 교육비 지출이 늘어나면 가구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사회적으로는 교육기회의 형평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계층간 교육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 교육비부담도는 가구소득 대비 자녀의 교육비 지출에 대해 가.. 더보기 일본의 유치원 입학식과 졸업식 일본의 유치원 입학식(入園式, 뉴엔시키)과 졸업식(卒園式, 소츠엔시키)은 단순한 행사를 넘어, 아이와 부모, 그리고 공동체 모두에게 매우 의미 있는 사회적 '통과의례'로 여겨진다. 아이의 복장은 물론, 부모의 옷차림부터 행사 후 가족 식사까지 세심하게 신경 쓰는 이 독특한 문화가 자리 잡은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1. 사회의 첫걸음, '집단'으로의 공식적인 입문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일본 사회가 개인만큼이나 '집단 속에서의 조화(和, 와)'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치원 입학식은 아이가 가정을 벗어나 처음으로 '사회'라는 집단에 공식적으로 소속되는 의식으로 받아들여 진다. 다시말해 입학식은 "이제부터 당신은 이 사회의 일원입니다"라는 소속감을 부여하는 '새 출발'의 의미를, 졸업식은 한 과정을.. 더보기 이전 1 2 3 4 ··· 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