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국제

중국 라이프스타일 시장


확대되는 중국 라이프스타일 시장



- 일상에 가치를 담는 라이프스타일 숍 -



□ 라이프스타일 숍(Life Style shop)


 ㅇ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새로운 형태의 생활용품 매장

  - 라이프스타일 숍은 현대인에게 단순히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형태

  - 일반적으로 가구, 인테리어, 생활용품, 서적, 패션 등을 하나의 공간에 함께 구성해 구체적인 라이프스타일 모습을 전시함.

  - 상품, 매장, 브랜딩 전체를 관통하는 일관된 이미지와 콘셉트는 라이프스타일 숍이 일반 생활용품 매장과 구별되는 점이자 고객이 매장을 재방문하게 하는 원동력이 됨.



□ 중국 라이프스타일 시장의 성장 요인


 ㅇ 중산층의 증가

  - 크레디트 스위스 연구원에서 발표한 ‘제6차 세계 자산보고서(2015년)에 따르면, 월수입 4만5202위안 및 100만 위안 이상의 유동자산을 보유한 중국의 중산층 규모는 1억9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30조93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0.7% 증가했으며, 중국의 1인당 평균가처분소득은 2만1996위안으로 7.4% 성장함.

  - 이처럼 실질적인 소비력이 증가하면서 자아만족과 삶의 가치를 높이는 라이프스타일 시장이 성장하게 됨.


 ㅇ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1인, 2인 가구의 증가

  - 중국의 1인 가구는 2015년 7442만 개로 전체 가구 수의 16.1%에 해당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로 2025년에는 1억 가구를 돌파할 전망임.

  - 넓은 국토면적으로 인해 각 지역별 1, 2선 도시로 이동하는 젊은층이 증가하면서 1, 2선 도시의 1인 가구 비율이 높음.

  - 전체 1인 가구 중 80后(1980년대 출생자), 90后(1990년대 출생자)가 전체의 40%를 차지하며, 결혼 전 자신만의 공간 확보를 위해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중산층 젊은이가 증가하는 추세임.

  - 1인 가구 및 젊은 신혼부부는 가성비를 중시하는 등 합리적인 소비 트렌드를 보이지만 자신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투자를 아끼지 않는 과감한 소비를 하기도 함.



 ㅇ 홈퍼니싱(Home Furnishing)에 대한 관심과 수요의 증가

  - 패션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고자 하는 젊은 세대가 늘면서, 중국의 소프트인테리어(软装修) 산업은 지난 5년간 빠른 속도로 성장해 현재 연간 소비규모가 2000억~3000억 위안에 도달함.



  - 현재 1선 도시에는 인테리어 전시매장이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았으며, 2, 3선 도시 및 4선 도시까지 영향력이 퍼지고 있어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ㅇ 소비자의 변화 및 소비형태의 변화

  - 대도시를 중심으로 생활수준과 교육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은 외적인 것에만 치중하지 않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중요시하기 시작함.

  - 최근 소비의 주도층으로 떠오른 80后와 90后를 중심으로 각자의 취향과 개성을 추구하는 형태의 소비가 확산되고 있음.

  - 생활 속 영감과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매장을 방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전시형 매장이 인기를 얻고 있음.




□ 중국 라이프스타일 시장 현황




□ 전망 및 시사점


 ㅇ 선진국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 시장은 이미 성숙기로 접어들었으며, 중산층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의 라이프스타일 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큼.


 ㅇ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중시하는 80后와 90后가 소비를 주도함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삶의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프스타일 시장에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됨.


 ㅇ 구체적이면서 이상적인 장면 제시를 통해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전시형 인테리어 소품 유통매장은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을 것으로 예상됨.


 ㅇ 가구, 문구, 패션, 인테리어 산업 등 뚜렷한 강점 산업을 바탕으로 토털 라이프스타일 매장으로 확장한다면,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 및 전문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ㅇ 라이프스타일 숍은 제품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제품, 매장, 브랜드 전체를 아우르는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ㅇ 브랜드 자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지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을 실시하는 등 적절한 현지화를 실시한다면 중국 시장의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음.


 ㅇ 고급제품보다는 패스트 패션을 기반으로 단기간에 사용하고 소비하는 제품이 많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재고관리 및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선도하는 능력이 중시됨.

[코트라(KOTRA) 2016년 10월 7일 내용 발췌]




반응형

'시사 정보 >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서부내륙 실력자  (0) 2017.03.13
미국 스포츠웨어 산업 성장  (0) 2017.03.12
미국내 한국화장품  (0) 2017.03.12
프랑스 ‘정크푸드稅’ 도입 계획  (0) 2017.03.12
미국의 스낵 유행 변화  (0) 2017.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