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경로 |
환자의 호흡기분비물 또는 피부의 수포액에 직접 접촉 |
호발연령 |
10세 미만 |
증 상 |
- 미열로 시작되어 발열, 식욕부진 증상과 함께 발진성 수포 발생 |
예 방 |
- 예방접종 - 손씻기 및 철저한 개인위생 실천이 가장 중요 |
예방접종 대상자
[소아 접종 대상자]
- 생후 12∼15개월의 모든 건강한 소아 : 보건소와 병의원에서 무료 접종 시행
▶ 따라잡기 접종 : 수두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소아로 정기접종 시기(생후 12∼15개월)에 접종을 받지 못한 소아에 실시
[성인 접종 대상자]
- 의료인, 면역저하자 환자의 보호자
- 학교나 유치원 교사, 학생, 군인
-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 어린이와 함께 거주하는 청소년이나 어른
▶ 항체 검사 후 2회 접종 실시(0, 1∼2개월)
☞ 수두바이러스에 노출 후 3일 이내 수두백신을 접종하는 경우 어느 정도 예방효과가 있으므로 과거 수두를 앓은 경험이 없는 경우 접종을 고려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www.nip.cdc.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20-30분간 의료기관에 머물면서 이상반응이 있는지 관찰한 뒤 귀가합니다.
수두 Q&A
1. 수두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 흔한 증상은 발진, 발열, 식욕부진입니다. 발진은 머리와 몸통에서 시작해서 얼굴과 팔, 다리로 퍼져나가며 가려움을 동반한 수포가 생깁니다.
2. 수두 예방접종을 받으면 얼마나 효과가 있나요?
- 수두백신은 일반적으로 1회 접종 시 70∼90%의 예방접종효과를 보이고, 중증(수포의 개수 등)을 예방하는 효과는 90%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백신 접종자도 수두에 감염될 수 있으나, 접종자의 경우 수포 수가 적고 빠르게 회복되며 합병증을 앓을 확률이 낮아지는 등 경증의 임상증상을 나타냅니다.
3. 수두와 MMR 백신 접종의 접종간격이 있나요?
- 수두와 MMR백신은 같은 날 동시 접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두 백신을 같은 날 접종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최소 4주(28일) 이상의 접종간격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4. 수두를 한 번 이상 앓을 수 있나요?
- 대부분 수두에 걸린 후 면역을 얻게 되어 두 번째 감염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러나 면역이 저하된 사람은 수두를 여러 차례 앓을 수 있습니다.
5. 아이가 수두에 감염되었는데, 학교에 보내도 될까요?
- 수두는 발진 시작부터 수포가 마르고 딱지가 않을 때까지(대게 발진 시작일부터 5일까지) 전염력이 있으며 이 기간 동안은 격리가 필요합니다.
6. 가족 중 수두환자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과거에 수두를 앓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면역력이 획득했으므로 추가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고 예방접종도 하지 않은 사람은 환자 접촉 후 3일 이내에 예방접종 할 것을 권장합니다.
수두 발생현황
□ 수두 발생현황
□ 수두 연령별 발생현황
[서울시 감염병관리본부 '서울시 감염병 소식지 2016년 제 2호' 발췌]
'시사 정보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알레르기 (0) | 2017.01.30 |
---|---|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십계명 (0) | 2017.01.09 |
성홍열 바로알기 (0) | 2016.12.04 |
진드기매개감염병 바로알기 (0) | 2016.12.04 |
해외유입감염병 바로알기 (0) | 2016.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