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탈모인구 2.5억 명, 탈모샴푸 “뜬다”
- 중국 샴푸시장 한국 시장점유율 1위 차지 -
- 한중 FTA 관세 활용 시 유리 -
□ 유망 상품 및 선정사유
ㅇ 유망 상품
ㅇ 선정 사유
- 중국 내 탈모인구수는 2억5000만 명으로 매년 15~18% 증가하고, 매년 탈모인구 증가에 따른 탈모제품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17년 중국 헤어제품 시장 소비총액은 45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중국보건기구(中國保健機構) 및 탈모 관련 사이트가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현대인의 탈모 초기발병 연령이 낮아졌으며 35세 이하 탈모 발병 환자가 전체 75%에 달함.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중국 탈모 인구수 2억5000만 명 중 남성 탈모 절반 이상 차지
- 중국건강촉진 및 교육협회(中國健康促進與教育協會)에서 발표한 <2016년 중국탈모인구조사(中國脫髮人群調查)>에 의하면 현재 중국의 탈모 인구수는 약 2억5000만 명에 달하며, 그 중 남성탈모가 약 1억6000만 명으로 중국 남성의 20%가 탈모증을 겪고 있음.
- 닐슨 시장조사 연구기관은 2016년 <중국소비자 탈모현상에 대한 인지연구(中國市場消費者對掉發現象的認知研究)>(이하 연구라 함)에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청두, 우한 등 지역의 1800여 명 남성소비자 대상으로 탈모 관련 조사를 진행함. 연구 결과 60% 이상의 참여자가 모발 건강문제로 고민하고 있다고 답변함.
ㅇ 갈수록 젊어지고 있는 탈모인구
- 최근 들어 20, 30대 연령층이 탈모로 고생하고 있으며, 심지어 15세에도 탈모현상이 일어나 탈모현상 연령층이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음.
- 외모 관리에 관심 많은 젊은층의 탈모현상 증가에 따라 탈모 예방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층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 3년간 수입 동향
ㅇ 연도별 수입동향
- 2014~2016년 중국 샴푸 수입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 2016년 중국 샴푸(HS Code 33051000) 수입 규모는 15억5055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9% 증가함.
- 특히 2015년에는 2014년 대비 시장이 2배 이상 성장하는 급증세를 보였음.
ㅇ 주요 수입국 수입동향
- 2016년 샴푸 주요 수입국은 한국이 1위이며, 그 뒤를 일본, 프랑스 순임.
- 한국은 2014년 수입국 4위에 머물렀지만 2015년 중국 수입 샴푸시장이 급성장시기에 1위로 올라섰으며, 2016년에도 1위 자리 유지
- 2016년에도 한국은 57.3%의 증가율을 보이며 대중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ㅇ 주요 성별 수입동향
- 주요 성별 한국 샴푸 수입동향을 보면 상하이는 최근 3년간 상위 3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저장성, 허난성은 2014년 모두 5위권 밖이었으나 2016년 상위 3위권에 포함
- 2016년에 100% 이상 성장률을 보인 지역으로는 상하이(213.2%), 산둥(155.5%), 베이징(215.5%), 랴오닝(181.3%), 충칭(257.2%) 등으로 지역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임.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 샴푸, 중국 수입시장에서 1위 차지
- 2016년 한국 샴푸의 시장점유율은 36.3% 1위 차지
- 한국 샴푸는 2012년 만해도 10% 미만의 시장점유율이었으나, 2015년에 27.88%로 시장점유율이 껑충 뛰어오른 후 2016년에 36.3%로 1위 유지
- 한국산 화장품 및 미용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샴푸, 린스 등 한국산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 커짐. 현지 온라인 쇼핑몰 인기 제품을 살펴보면 한국 탈모샴푸에 대한 선호 브랜드는 려(吕), 케라시스, 리엔 등 브랜드임.
ㅇ 최근 5년간 대한 수입동향
- 중국의 대한 샴푸 수입규모를 보면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2015년 3억5752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17.60% 증가하는 고속 성장세를 보였음.
□ 경쟁동향
ㅇ 바이두지수(百度指数)* 검색 통계로 보는 탈모샴푸 브랜드
- 바이두지수 통계에 의하면 2011-2016년 탈모샴푸의 바이두검색 수가 제일 많은 브랜드는 타이양선(太阳神)으로 바이두지수 검색 평균치가 1978에 달함. 그 다음으로 바왕(霸王)이 1626로 2위, 스화커우(施华蔻)가 1457로 3위에 오름.
- 2017년 1~6월 바이두지수 통계에서 스화커우(施华蔻) 검색 평균치가 1773으로 1위로 타이양선(太阳神)을 치고 올라옴.
* 바이두지수(百度指数): 바이두의 빅데이터를 공유해주는 플랫폼。바이두 이용자들의 특정 키워드 검색 빈도를 측정해 수치화 한 것. 일반적으로 바이두 지수는 조회수, 연관 검색어, 검색률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산정되는 수치로 중국 내 브랜드 인지도를 확인하는 척도로 활용
ㅇ 주요 10대 경쟁업체
- 중국산업정보망(中國産業信息網)에서 발표한 2016년 탈모샴푸 10대 브랜드 통계에 의하면, 그 중 중국 브랜드 4개, 프랑스 2개, 스위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각각 1개 브랜드 차지함.
-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중저가제품(40~80위안)을 많이 선호하며 10대 브랜드 중 가장 비싼 가격의 제품은 프랑스의 Kerastase 탈모샴푸(199위안/250ml)임.
- 그 외 온라인에서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제품은 영국 브랜드 ‘卓藍牙(ZOOLY)’ 탈모샴푸로, 탈모에 좋은 생강을 원료로 두피건강에 효과적인 제품임.
□ 관세율, 인증정보 및 수입규제
ㅇ 관세율
- 샴푸(HS Code33051000) 수입세율 중 한-중 FTA 세율 5.1%로 가장 낮으므로 중국으로 수출 시 한-중 FTA 수입세율 적용 권장함.
ㅇ 인증정보 및 수입규제
□ 중국 내 관련 전시회 정보
□ 대중 수출 시 유의사항
ㅇ 한-중 FTA 적극 활용 권장
- 샴푸는 수입관세율 중 한-중 FTA 세율 5.1%로 가장 낮으므로 중국으로 수출 시 한중 FTA 수입세율 적용 권장
- 한-중 FTA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고, 원산지증명서 구비 등 협정에서 요구하는 제반 요건을 충족하면 한-중 FTA 협정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음.
ㅇ 중국 내 수입제품 관리 감독 강화에 따른 철저한 준비 필요
- 올해 1~5월 중국 해관 총서에 의해 수입 불허된 샴푸는 총 4건이며, 수입 불허 요인으로는 포장 불합격(2건), 증서 미비(2건)임.
- 따라서 대중 수출을 위한 증빙서류 준비는 물론 포장, 라벨링 규격에 대한 철저한 대비 필요
□ 전망 및 시사점
ㅇ 전체 탈모인의 60%는 간편한 탈모 방지제품을 선호
- <2016년 중국탈모인구조사(中國脫髮人群調查)>에 의하면 전체 탈모인의 60%는 병원치료보다 간편한 탈모 방지제품을 선호한다고 답변
- 병원치료는 비용 부담면도 있지만 아직 익숙하지 않고 사람들의 시선을 꺼려하는 부분도 있어 집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탈모 방지 제품을 보다 선호
ㅇ 탈모샴푸도 녹색제품 선호
- 최근 소비자들은 제품의 원료성분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탈모 방지 제품도 방부제, 황산염 등 성분이 포함된 제품보다는 천연제품, 오염방지, 무색소 등 제품을 선호
ㅇ 향후 전문적인 케어서비스 관리센터 수요 증가 예상
- 기존에는 두피·탈모·모발 관리는 병원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지만 최근 소비자 수요 증가, 한국 두피관리센터 중국으로의 진출 등의 영향으로 두피관리센터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증가하는 추세임.
[코트라(KOTRA) 2017년 7월 13일 내용 발췌]
'시사 정보 >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항공산업 (0) | 2017.07.18 |
---|---|
브라질 LGBT, 소비 블루칩으로 떠올라 (0) | 2017.07.18 |
개인용 장바구니 챙기는 미국인들 (0) | 2017.07.18 |
UAE, 2017년 호텔산업 트렌드 (0) | 2017.07.18 |
2016년 중국 지역별 평균임금 (0) | 201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