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국제

일본 4차 산업혁명, 새로운 성장 동력 되나


일본 4차 산업혁명, 새로운 성장 동력 되나



- 일본 정부의 4차 산업혁명 키워드는 'IOT, AI, 로봇, 빅데이터' - 

-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힘입어 기업들은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 -

- 한국 역시 강점과 약점을 반영한 우리만의 '제4차 산업혁명 전략'이 필요 -



□ 아베 정권, 4차 산업혁명을 국가 정책에 적극 활용 


 ㅇ 일본 정부가 처음으로 4차 산업혁명을 국가 전략 보고서에 명시한 것은 2016년 '일본 재흥전략: 4차 산업혁명을 향해'와 '신산업 구조비전: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일본의 전략'임.

  - 2012년 12월 취임한 아베 총리는 이전 정부의 성장정책인 '신성장전략(2010)'과 '일본 재생전략(2012)'을 발전시켜서 2013년 6월 최초 '일본 재흥전략'을 발표


 ㅇ 일본은 4차 산업혁명을 기술진화로 이해하고 있으며, 일본이 가장 자신 있는 분야라는 믿음에서 다른 어떤 국가보다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4차 산업혁명을 국가 정책에 활용

  - 아베노믹스 '3개의 화살' 중 하나인 성정전략의 일환으로 일본의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삼고자 함.



□ 일본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의 핵심 내용


 ㅇ 일본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으로 규정

  - 제4차 산업혁명을 이 공통 기반 기술들이 부문별 기술(금융, 의약, 생산 등) 및 데이터와 결합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지는 산업구조의 혁신으로 추진



 ㅇ 일본 정부의 역할은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기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규제를 혁파하는 데 집중

  - 수도권인 도쿄 하네다공항 인근 지역을 자율주행차 실험특구로 지정하는 등 적극적 정책 수행




□ 민간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 개발 및 대응에 집중 


 ㅇ '잃어버린 20년', 한국과 중국에 뒤처졌던 일본 기업들이 새로운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는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절치부심한 뒤로 산업 분야를 불문하고 변화의 움직임은 확연



 ㅇ 제조업의 경우, '센서를 통한 생산현장 운영 효율화'가 최근 나타나고 있는 가시적인 4차 산업혁명에의 접근인 것으로 보임.

  - 전력 센서에 의한 설비 단위, 생산 라인 단위의 전력 사용량 파악, 가속도 및 진동 센서에 의한 모터 등의 이상 감지, 온습도 센서에 의한 생산 현장이나 창고 등의 환경 추적은 많은 생산현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변화임.


 ㅇ 유통업 역시 다양한 변화를 꾀하는 중으로, 일본 5대 편의점들은 2025년까지 모든 편의점을 무인화시키겠다고 선언

  - '로손'은 일본 '파나소닉'과 편의점 자동계산 시스템을 개발 중



  - 무인화뿐 아니라 24시간 운영 및 편리한 접근성을 활용해 금융 및 핀테크를 편의점에 접목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기 시작



□ 시사점


 ㅇ 일본 정부의 체계적이고 신속한 4차 산업혁명 전략은 경제 성장과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이는 바, 우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큼.


 ㅇ 한국 역시 강점과 약점을 반영한 우리만의 '제4차 산업혁명 전략'이 필요

  - 일본의 산업 기술력에 상응하는 우리만의 강점을 적극 활용한 유니크한 전략 수립


 ㅇ 한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구조 변화와 산업 개편에서 나타나는 부작용 등도 충분히 고려한 입체적인 정책 수립 및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코트라(KOTRA) 2017년 10월 18일 내용 발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