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행복점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인특성에 따른 행복수준의 차이 개인특성에 따른 행복수준의 차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한가?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는 만 1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현재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지를 1-10점으로 묻고 있는데, 이러한 행복점수는 2010년 6.4점에서 2016년 7.1점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8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6.8점으로 나타났다(그림 Ⅶ-9). 더 구체적으로는 최근 조사된 2016년과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특성별 행복수준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연령집단별 행복수준을 살펴보면, [그림 Ⅶ-10]과 같이 20대의 행복점수가 가장 높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행복점수가 감소하는데 60대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70대 이상의 행복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10대(15-19세)의 행복점수는 70대 이상 .. 더보기 이전 1 다음